얼마 전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이 새로운 임기를 시작했습니다. 트럼프 2.0 시대를 맞이하며 많은 변화가 예상되는 미국 시장! 온라인을 통한 미국 진출 노하우와 트럼프의 주요 정책과 변화에 대해 살펴봅니다.
미국 전자상거래 시장 현황

미국 전자상거래 시장은 세계 1위를 자랑합니다. 아마존과 이베이와 같은 글로벌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성장과 혁신을 통해 글로벌 전자상거래 시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최근 경제 위기로 인해 성장이 다소 둔화된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시장입니다.
지속적인 성장세
2023년 미국의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는 약 1.8조 달러(USD)로, 전 세계 온라인 소매 판매의 약 25%를 차지했습니다. 2025년에는 2조 달러를 넘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4년 사이버 먼데이(Cyber Monday)에도 사상 최대의 온라인 쇼핑 기록을 세웠습니다. 이러한 성장세는 기술 발전, 소비자 행동 변화, 그리고 새로운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지속적인 등장에 기인합니다.
모바일 커머스 시장
2023년 미국의 소매 모바일 커머스 매출은 약 5,640억 달러로 전체 디지털 지출의 약 38%를 차지했습니다. 2024년 사이버 먼데이에서도 모바일 기기에서 이루어진 판매가 전체 매출의 절반을 넘었습니다. 이러한 성장세는 앞으로도 이어져 2027년까지 8,500억 달러 이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미국 소비자의 72%가 모바일을 통해 쇼핑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보급 확대 및 모바일 쇼핑의 높은 편의성에 기인합니다.
기술혁신과 플랫폼의 발전
아마존, 이베이, 월마트 등 대형 글로벌 전자상거래 플랫폼은 미국 시장을 지배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AI)과 데이터 분석을 통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 클라우드 기반의 물류 시스템 발전 등 기술적 혁신이 전자상거래의 주요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4년 블랙 프라이데이 기간 동안 AI 챗봇의 활용으로 소매업체 웹사이트의 트래픽이 전년 대비 1,800% 증가했습니다.
BNPL 결제 확산
인플레이션과 경제 불황으로 소득이 줄어들자 소비자들은 BNPL 결제(선구매 후지불)를 선호하기 시작했습니다. Affirm, Afterpay, Klarna와 같은 BNPL 서비스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이를 도입한 업체의 평균 판매량은 4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BNPL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장바구니를 포기할 확률이 35% 줄어들었습니다. 즉, BNPL 방식은 매출 증가와 장바구니 포기율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미국 전자상거래 시장 및 소비자 트렌드

가격 민감도 증가
경제 불황과 소득 감소로 최근 미국 소비자들은 가격에 민감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가격 비교 사이트(Google Shopping, Honey, RetailMeNot)를 활용하여 최저가를 찾는 소비자 비율이 높으며, 할인 코드, 쿠폰, 멤버십 혜택 등이 있는 사이트가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블랙 프라이데이(Black Friday), 사이버 먼데이(Cyber Monday) 같은 대형 할인 행사에서 대규모 쇼핑을 하는 이유도 보다 저렴하게 제품을 구매하기 위함입니다.
리뷰와 평점
미국 소비자들은 제품을 구매하기 전 리뷰와 평점을 탐색합니다. 한 조사에 따르면, 95% 이상의 미국 소비자가 온라인 쇼핑 시 리뷰를 확인하며, 90% 이상의 소비자가 별점 4.0 이상인 제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사진 및 동영상 리뷰가 포함된 경우 더욱 신뢰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반면, 72%의 소비자는 부정적인 리뷰를 보면 구매를 망설이거나 포기했습니다. 미국 시장에서 성공적인 판매를 위해서는 리뷰와 평점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편의성과 신속성 추구
미국 소비자들은 빠른 배송과 간편한 결제를 선호하며, 이는 구매 결정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특히 빠른 배송과 무료 배송에 대한 니즈가 높습니다. 무료 배송(Free Shipping)은 미국 소비자들에게 필수적인 요소로 당일 배송(Same-day Delivery), 익일 배송(Next-day Delivery) 서비스에 대한 기대도 높습니다. Amazon Prime과 같은 구독 기반 빠른 배송 서비스가 인기를 끄는 이유도 이 때문입니다.
구독 서비스와 멤버십 모델 확대
미국 전자상거래 시장에서는 정기 구독 서비스와 멤버십 모델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Amazon Prime, Walmart+와 같은 유료 멤버십 프로그램은 소비자들에게 무료 배송, 독점 할인, 스트리밍 서비스 등의 혜택을 제공하며 충성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특히 정기적으로 필요한 제품(식료품, 화장품, 생활용품 등)을 자동으로 배송해 주는 구독 커머스(subscription commerce) 모델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Netflix, Spotify와 같은 디지털 콘텐츠 구독뿐만 아니라, Dollar Shave Club(면도용품), Blue Apron(식재료 배송) 등 실물 상품 구독 서비스도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소셜 커머스(Social Commerce) 확산
SNS 플랫폼을 활용한 소셜 커머스가 미국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TikTok Shop, Instagram Shopping, Facebook Marketplace와 같은 기능을 통해 소비자들은 플랫폼 내에서 직접 제품을 검색하고 구매할 수 있습니다. 특히 Z세대와 밀레니얼 세대는 SNS에서 제품 리뷰와 추천을 확인한 후 구매하는 비율이 높으며, 인플루언서와 크리에이터들의 제품 추천이 강력한 마케팅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또한, 실시간 방송을 통해 제품을 시연하고 소비자와 직접 소통하며 구매를 유도하는 라이브 커머스(Live Commerce)도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이런 트렌드는 전통적인 전자상거래 플랫폼뿐만 아니라 SNS 기반의 새로운 판매 채널이 더욱 확대될 것임을 시사합니다.
옴니채널(Omnichannel) 쇼핑 경험 강화
미국 내 주요 소매업체들은 온라인에서 주문한 상품을 매장에서 직접 픽업하는 BOPIS(Buy Online, Pick-up In Store)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온라인에서 구매한 제품을 매장에서 쉽게 반품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반품 시스템도 강화하고 있습니다. Macy’s, Target, Best Buy와 같은 대형 리테일러들은 이러한 옴니채널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고객 경험 개선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옴니채널 전략은 소비자 만족도를 높이고, 브랜드 충성도를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미국 소비자의 온라인 결제 선호 수단

미국 소비자들은 신용카드, 디지털 지갑, BNPL(후불 결제) 등 다양한 결제 방식을 선호합니다. 특히 편리함과 보안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합니다. 2023년, 주요 결제 수단 및 선호도를 살펴보면, 디지털 지갑(Digital Wallets)과 신용카드(Credit Card)의 결제 비율이 높았습니다. 모바일 쇼핑 증가로 디지털 결제 이용이 더욱 확대되고 있으며, BNPL에 대한 선호도 또한 증가하고 있습니다.
미국 소비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온라인 플랫폼

미국 소비자들이 많이 이용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순위와 시장 점유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아마존(Amazon)
아마존은 미국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빠른 배송(Amazon Prime)과 광범위한 제품 선택지로 인해 지속적으로 성장 중입니다. 2023년 미국 전자상거래 시장 점유율은 약 37.8%, 2024년에도 약 40%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습니다.
2. 월마트(Walmart)
오프라인 중심으로 영업을 하던 월마트는 2016년 다소 늦게 온라인 시장에 진출했습니다. 하지만 공격적인 행보로 점차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2024년 2분기에는 전년 대비 27% 성장하였고, 미국 전자상거래 시장 점유율도 약 7%에 달했습니다. 특히 월마트는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 쇼핑을 통합한 전략으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식품 및 생활용품 분야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3. 이베이 (eBay)
한때 미국에서 인기를 끌었던 이베이(eBay)는 약 4%대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아마존, 월마트, 애플, 타겟 등에 비해 낮은 수준입니다. 하지만 중고 제품과 독특한 아이템 거래, 그리고 경매 시스템으로 특색 있는 플랫폼으로서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4. 테무(Temu)
미국 소비자들 또한 저렴한 가격으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테무를 많이 이용합니다. 테무는 2022년 미국 시장에 진출한 이후 빠르게 성장하며, 2024년 10월 기준, 미국 전자상거래 시장 점유율 1.4%를 기록했습니다. 시장 점유율이 크게 높지는 않지만, 극도로 낮은 가격, 광고 및 마케팅, 다양한 제품 등을 무기로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키우고 있습니다. 향후 품질 개선과 브랜드 신뢰도 구축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더 큰 성장이 가능할 것입니다.
5. 틱톡샵(TikTok Shop)
틱톡샵(TikTok Shop)은 소셜 커머스의 강점을 바탕으로 미국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아직은 전통적인 전자상거래 플랫폼(아마존, 월마트 등)에 비해 점유율이 낮지만,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이용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소셜 커머스 시장의 성장과 함께 틱톡샵의 영향력도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4년 블랙 프라이데이 기간 동안 틱톡샵에서 발생한 매출은 1억 달러에 달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주요 경제 정책 살펴보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025년 1월 20일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하며 다양한 정책을 발표하였습니다.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를 강조하며, 세금 인하, 규제 완화, 그리고 미국 산업 보호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기업 친화적 정책과 자국 중심의 경제 모델은 미국 내에서 산업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지만, 타 국가에게는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1. 관세 인상 정책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내 제조업을 보호하고 무역 적자를 줄이기 위해 중국, 멕시코, 캐나다, 유럽연합(EU) 등 주요 교역국에 대한 관세를 인상하고 있습니다. 중국산 제품의 경우,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철강, 태양광 패널 등 핵심 산업 제품에 대한 관세를 대폭 인상할 예정이며, 멕시코 및 캐나다는 자동차 및 농산물에 대한 관세 재검토, 유럽연합(EU)은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추가 관세 부과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상호관세' 카드도 꺼내 들고 있습니다. 상호 관세란 특정 제품의 교역에서 미국이 수입할 때 적용하는 관세보다, 상대국이 미국산을 수입할 더 많은 관세를 매길 경우 이를 불공정한 행위로 보고 양국 간 차이만큼 추가로 부과하는 보복적인 관세를 가리킵니다.
2. 보호무역 정책
보호무역주의는 자국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수입 규제와 국내 생산 장려 정책을 강화하는 경제 정책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실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조를 세우고 있습니다.
1) 자국 기업 우선 조달 정책
미국 정부 계약에서 자국 기업 제품을 우선 사용하도록 유도
2) 외국 제품의 덤핑 조사 강화
해외 기업이 미국 시장에 너무 낮은 가격으로 제품을 판매하는 경우, 이를 불공정 무역으로 규정하고 대응
3) 자국 제조업 보조금 지원
반도체, 배터리, 철강 등의 산업에 대한 세금 혜택과 투자 유치
이러한 보호무역 조치는 미국 내 제조업 회복과 고용 창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수입 관세가 상승하면서 미국 기업들도 원자재 및 부품 비용 부담이 증가하고, 수입 제품 가격 인상으로 인해 소비자 부담과 물가 상승이 우려됩니다. 또한, 중국 및 EU 등 주요 국가들이 보복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 미국의 관세 및 보호무역 대응 전략
트럼프 관세 정책은 한국 경제에 수출 둔화 우려, 무역수지 압박, 공급망 재편 등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한국의 주요 수출 품목(반도체, 자동차, 가전제품 등)이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 합니다.
1) 현지 생산 확대
미국 내 공장 증설로 관세 부담 완화 전략이 필요
2)FTA 활용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등의 기존 무역 협정을 최대한 활용하여 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을 모색
3) 수출 시장 다변화
동남아, 유럽 등으로 수출 비중 확대해 미국 의존도 줄이기
4) 기술 경쟁력 강화
반도체·전기차 등 핵심 산업의 기술 혁신으로 가격 경쟁력 확보.
미국 전자상거래 시장은 기술 혁신과 소비자 트렌드의 변화에 발맞춰 빠르게 진화하고 있습니다. 기업들은 이러한 변화를 주시하며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전략을 지속적으로 고민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트럼프의 경제 정책은 무역과 기업 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더욱 세심한 모니터링 및 대비가 필요합니다.